
경기호연뉴스 민선기 기자 |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이영희 의원(국민의힘, 용인1)은 7일 열린 2025년 행정사무감사에서 수원소방서를 대상으로 펌프차와 구급차 기능을 결합한 복합대응 차량인 ‘펌뷸런스(Pumbulance)’ 운영 성과를 점검하고, 현장 성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인력·교육·평가 체계 정비를 촉구했다.
수원소방서는 심정지 등 응급환자 발생 시 구급차보다 펌뷸런스가 더 빠르게 도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해, 펌뷸런스 운용을 확대해 왔다. 2024년 한 해 동안 1,772건의 현장에 출동했으며, 하루 평균 5건 이상을 처리했다. 특히 심정지 환자 출동 건수는 2023년 32건에서 2024년 201건으로 6배 넘게 증가해, 시민 생명 구조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의원은 “펌뷸런스가 심정지 환자 등 위급 상황의 골든타임을 지키는 데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라며 “이제는 일시적 성과를 넘어, 지속 가능한 현장 대응 체계로 발전시켜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 의원은 “펌뷸런스는 펌프 조작, 운전, 응급구조 등 복합 기술을 수행해야 하는 고난도 대응체계”라며 “성과를 유지하려면 열정이 아닌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펌뷸런스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훈련·사례평가·성과관리의 체계화를 주문했다. 이 의원은 “출동 건수만으로 성과를 평가할 것이 아니라, 응답시간 단축, CPR 성공률, 초기 환자 안정화율 등 객관적 지표를 도입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의원은 “수원은 소방 1인당 담당 인구수와 출동 건수가 많은 지역으로, 펌뷸런스는 단순한 시범사업이 아니라 지역 특성을 반영한 상시 대응체계로 발전해야 한다”라며 “수원소방서가 축적한 현장 경험이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돼 ‘수원형 펌뷸런스 모델’이 정착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